"유튜브에서 사기당했다!"… 소셜미디어발 해외직구 사기 실태 전격 공개
![afssfasfa.jpg](http://img.imagepola.com/20250207/acf4ba21ec16c98d794728e51d4bfe331016361488.jpg)
피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접속이 전체의 82.3%를 차지했으며, 그중에서도 인스타그램(41.8%)과 유튜브(25.3%)가 주요 경로로 지목됐다. 이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맞춤형 광고와 콘텐츠가 소비자들을 사기성 쇼핑몰로 유도하는 주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피해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유명 브랜드를 사칭하여 제품을 판매한 후 잠적하는 경우(47.1%)로, 소비자들은 평소보다 현저히 저렴한 가격에 현혹되어 피해를 입었다. 둘째는 광고와 전혀 다른 저품질 제품을 배송하고 환불을 거부하거나 일부만 환급해주는 수법(46.5%)이다.
![asfsfasaf.jpg](http://img.imagepola.com/20250207/67cfdb3f0c4df8a1cdaeba8ee6dafa40729691441.jpg)
특히 우려되는 점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자율규제와 신고 기능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소비자원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2.2%가 자율규제의 존재를, 59.7%가 신고 기능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이는 플랫폼의 안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메타와 구글에 불법·유해 콘텐츠와 광고 차단을 위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협력하여 사기성 쇼핑몰의 접속 차단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당부했다.
1. 지나치게 저렴한 명품 브랜드 상품 광고는 의심해볼 것
2.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에서 URL 진위 여부 확인
3. 구매 후기 꼼꼼히 확인
4. 계좌이체 대신 카드 결제 이용
5. 모든 거래 증빙자료 보관
아울러 비자, 마스터카드, 아멕스카드, 유니온페이 등에서 제공하는 '차지백 서비스'를 활용하면 사기 의심이나 미배송 등의 문제 발생 시 일정 기간 내에 거래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 sesangfocus.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